Warning: mkdir(): Permission denied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1

Warning: fopen(upload/ip_log/ip_log_2024-05.txt):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3

Warning: fwrite() expects parameter 1 to be resource, boolean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4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a Ceria Based Composite Electrolyte for Solid Oxide Fuel Cells by an Ultrasonic Spray Pyrolysis Process
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Journal of Powder Materials : Journal of Powder Materials

OPEN ACCESS
SEARCH
Search

Articles

Page Path
HOME > J Powder Mater > Volume 21(3); 2014 > Article
ARTICLE
초음파분무 열분해법을 이용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세리아계 복합체 전해질의 제조 및 특성
이영인, 좌용호a,*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a Ceria Based Composite Electrolyte for Solid Oxide Fuel Cells by an Ultrasonic Spray Pyrolysis Process
Young-In Lee, Yong-Ho Choaa,*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2014;21(3):222-228.
DOI: https://doi.org/10.4150/KPMI.2014.21.3.222
Published online: May 31, 201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한양대학교 융합화학공학과

Department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139-743, Korea

a Department of Fusion Chemic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Ansan 426-791, Korea

*Corresponding Author : Yong-Ho Choa, TEL: +82-31-400-5650, FAX: +82-31-418-6490, E-mail: choa15@hanyang.ac.kr
• Received: June 9, 2014   • Revised: June 15, 2014   • Accepted: June 20, 2014

©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 43 Views
  • 0 Download
  • 2 Crossref
  • Much research into fuel cells operating at a temperature below 800°C. is being performed. There are significant efforts to replace the yttria-stabilized zirconia electrolyte with a doped ceria electrolyte that has high ionic conductivity even at a lower temperature. Even if the doped ceria electrolyte has high ionic conductivity, it also shows high electronic conductivity in a reducing environment, therefore, when used as a solid electrolyte of a fuel cell, the powergeneration efficienc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uel cell may be degraded. In this study, gadolinium-doped ceria nanopowder with Al2O3 and Mn2O3 as a reinforcing and electron trapping agents were synthesized by ultrasonic pyrolysis process. After firing, their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pure gadolinium-doped ceria specimen.
에너지 효율이 다른 연료전지와 비교하여 우수한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Solid Oxide Fuel Cell, SOFC)는 모듈화 가 용이하며, 다양한 연료를 정제 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고체산화물 연료 전지는 치밀한 전해질과 다공성의 양극, 음극으로 구성되 어 있다. 각각의 구성 부품은 연결재로 스택(stack)화 되어 있고, 밀봉재로 완전히 밀봉되어 있으며, 양극에서 공급된 산소가 전해질을 통과하여 음극의 연료기체와 반응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1, 2]. 전해질은 전지 구동에 핵심이 되 는 부품으로서, 산소 이온을 전도할 수 있는 결정질의 고 체산화물로 제작되며, 기체가 투과할 수 없는 높은 소결밀 도와 고온의 작동온도에서의 화학적 안정성 및 내열성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전해질은 ZrO2, CeO2, Bi2O3 및 LaGaO3에 금속 이온 치환을 통해 전하의 불균형을 유도 하여 산소 공공(Oxygen vacancy)을 형성할 수 있는 Y, Gd, Sm, V을 직접 또는 산화물의 형태로 첨가하여 제조 한다[3].
현재 상기의 재료 중 지르코니아(ZrO2) 계열, 특히 이트 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Yttria stabilized zirconia, YSZ)가 산소 이온 전도도를 가지고 있고, 산화 및 환원 분위기에 서도 우수한 안정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고체산화물 연 료전지의 전해질로서 가장 적합한 재료로 알려져 있다[4, 5]. 하지만 고온의 작동온도(>800°C)에 의한 내구성 저하, 시 동 및 정지 시간 증가, 각 부품간의 열팽창계수 차이에 의 한 파괴 유발과 고내열성을 갖는 구조용 부재를 반드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소자의 안정성 및 단가상승의 문제 를 가지고 있다. 이를 고려하여 작동온도를 낮추게 되면 전해질 및 전극의 저항, 즉 단위 셀의 내부저항이 증가하 기 때문에 전지 성능의 저하를 초래한다. 따라서 중·저온 에서 성능이 우수한 연료전지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우선 적으로 새로운 전해질의 개발이 필요하다.
세리아(CeO2) 계열의 전해질은 ZrO2와 비교하여 낮은 활성화 에너지와 중·저온 영역에서 높은 이온전도도를 가지고 있으며, Bi2O3 및 LaGaO3 계열의 전해질에 비해 안정성도 우수하고, 열팽창계수가 스테인리스 스틸과 유 사하여 금속재료 지지형 SOFC의 개발이 용이하다[6, 7]. 세리아 계열의 전해질은 산소의 이온전도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Ce4+ 보다 가전자수가 적으면서도, 이온반경이 유사 한 Gd3+ 또는 Sm3+ 를 도핑하여 제조한다. 하지만 doped ceria는 고온과 낮은 산소분압의 환경(SOFC의 연료극, 환 원분위기)에서 부분적으로 Ce4+가 Ce3+로 환원되어 전자 전도성을 나타내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부분적인 환 원에 의해 발생되는 이온반경의 변화는 fluorite 구조의 격 자상수 증가에 의한 부피 팽창을 유발하고, 기계적 성질의 현저한 저하를 초래한다[7].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는 Gd3+ 이외의 다른 물질을 동시에 도핑 또는 복합화 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현재 Gadolinium doped ceria(GDC) 분말은 균일침전법 및 졸-겔법을 이용하여 합성되고 있다[8, 9]. 그러나 이러 한 방법들은 반응조건이 엄격하고, 미세한 구형입자를 제 조하기 어려우며, 특히 균일한 조성의 2상 또는 다상 복합 체는 합성하기가 어렵다. 분무열분해법은 금속 이온들이 균일하게 분포된 금속염 수용액을 출발 물질로 사용하여, 미세한 액적으로 분무하고, 용매의 증발과 열분해 및 결정 화를 연속적으로 발생시켜 복잡한 조성을 갖는 미세한 구 형의 입자의 합성이 가능하며, 특히 세척 및 하소 공정이 필요하지 않고, 연속 공정으로의 설계가 용이하다는 장점 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상 복합체의 연속적인 합성이 가능한 초음파 분무 열분해법을 이용하여 중·저온형 연료전지의 전해질 소재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20 mol% Gd이 도 핑된 CeO2 분말(Ce0.8Gd0.2O1.9, GDC20)의 합성을 시도하 였다. 또한 앞서 언급한 기계적 특성 및 전자전도 증가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강도 보강성 화합물로 Al2O3와 전자 트랩성 화합물인 Mn2O3를 GDC20와 복합화 하였다. 소결 반응 시 발생하는 결정립 성장을 최소화하기 위해 방전 플라즈마 소결(Spark Plasma Sintering, SPS)를 이용 하여 GDC20 소결체 및 Al2O3/GDC20, Al2O3/Mn2O3/GDC20 의 복합체를 제작하였고, 각각의 미세구조, 기계적 및 전 기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SOFC의 전해질로의 응용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초음파 분무 열분해를 이용하여 GDC20 분말을 제조하 기 위한 출발 용액은 Ce(C2H3O2)3·2H2O(Alrich, 99.9%) 와 Cd(NO3)3·6H2O(Aldrich, 99.9%)를 각각 0.08 M, 0.02 M의 농도로 초순수(DI water)에 용해하여 제조하였다. 출 발용액은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서 미세 액적으로 수직형 관상로 내부로 분무되었고, 캐리어 가스로 산소를 2 lpm 의 속도로 공급하여, 미세 액적을 상부에 위치한 포집부로 이동시켰다. 미세 액적내의 용매 증발 및 출발 물질의 열 분해 그리고 결정화를 위해 관상로의 내부 온도를 600~800°C로 제어하였고, 진공 펌프가 연결된 포집부에서 필터를 이용하여 GDC20 분말을 포집하였다. Al2O3/ GDC20 복합분말을 제조하기 위해서 2 vol%의 Al2O3를 Al(NO3)3·9H2O (Alfa, 98%)를 GDC20 출발 용액에 첨가 하였으며, Al2O3/Mn2O3/GDC20 분말은 상기 용액에 1 vol% 의 Mn2O3이 혼합되도록 Mn(NO3)2·6H2O(Kanto, 98%)를 첨 가하여 제조하였고, 같은 조건에서 초음파 분무 열분해를 실시하였다. 상기와 같이 합성된 GDC20, Al2O3/GDC20, Al2O3/Mn2O3/GDC20 분말은 방전플라즈마소결 시스템 (Sumitomo Coal Mining, SPS-515S)을 이용하여 소결하였 다. 각각의 분말을 반경 5 mm의 원통형 흑연 다이(die)에 충전하고, 대기 분위기에서 80 MPa의 압력을 가하면서, 분당 100°C의 속도로 1400°C까지 승온하여 5분간 소결하 고, 로냉을 실시하였다.
분말 및 소결체는 X-선 회절분석기(X-ray diffractometer, CuKα, D-max/2C, rigaku, Japan)를 이용하여 결정구조를 분석하였고, Scherrer 식을 이용하여 1차 입자의 크기를 계산하였다. 분말의 형상과 소결체의 미세구조는 주사전 자현미경(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 JSM-6400, JEOL, JAPAN)과 투과전자현미경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JEM-2100, JEOL, JAPA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소결체의 밀도는 Archimedes 법을 이용하여 겉보기 밀도와 부피밀도를 측 정하였고, 상온에서의 물의 비중을 1로 하여 밀도를 상정 하였다. 시편의 기계적 특성을 고찰하기 위해 vicker 미 세경도 시험기(Buehler, Germany)를 사용하여 diamond 압 침으로 형성된 시편표면의 압흔과 균열 길이를 측정하여 경도를 확인하였다. 소결 시편의 전기전도도는 2-probe AC 측정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전극은 소결체의 양면 에 Au 페이스트를 이용해 형성하였으며, 전극 형성 후 700°C의 온도로 1시간동안 공기 중에서 열처리하였다. 측 정 장비로는 임피던스 분석기(Material Mates 7260, Itaila) 를 이용하였고 측정 주파수 대역은 1 MHz~10 MHz였다. 측정은 공기(air) 및 환원분위기(7.5% H2/N2) 하에서 수행 하였다.
초음파 분무 열분해법의 공정 온도를 결정하기 위해 관 상로 내부의 온도를 600, 700, 800°C로 변화하며 GDC20 의 합성을 시도하였다. 그림 1은 합성된 GDC20 분말의 공정온도에 따른 X-선 회절 분석 결과이다. 모든 온도에 서 fluorite 구조의 Cd0.2Ce0.8O1.9의 회절패턴(JCPDS #: 75- 0162)이 관찰되었지만, 잔류 물질의 완전한 열분해를 고려 하여 700°C의 온도를 적절한 합성조건으로 결정하였다. GDC20 이외의 다른 반응상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700°C 에서 합성된 분말로부터 Scherrer 식을 이용하여 계산된 1 차 입자 크기는 약 10 nm로 확인되었고, 합성 온도가 800°C로 증가한 경우에는 약 15 nm로 확인되었다. 그림 2 는 700°C에서 합성된 GDC20 분말의 형상, 크기 및 조성 을 보여주는 FE-SEM 사진 및 EDX 분석결과이다. 분말의 형상은 용매와 금속염의 순차적 열분해로 인해 불규칙적 인 형상을 나타내었으며, 평균 입자 크기는 약 1 μm로 확 인되었다. XRD 분석으로부터 계산한 입자크기와 FESEM 사진을 고려하면, 합성된 분말은 약 10 nm의 1차 입 자들이 응집해 2차 입자를 형성하고 있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EDX 분석 결과, 합성된 분말은 가돌륨(Gd), 세 륨(Ce)과 산소(O)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이들 세 원소의 조성비는 GDC20과 거의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림 3은 700°C에서 합성된 분말의 TEM 사진 및 FFT(Fast Fourier Transformation) 분석 결과이다. 선명한 투과이미 지를 얻기 위해 분말 중 가장 작은 입자를 선택해 분석하 였다. TEM 사진은 합성된 GDC20 분말이 약 10 nm 크기 의 1차 입자들이 응집하여 2차 입자를 형성하고 있다는 것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FFT 분석 결과로 부터 합성된 분말이 우수한 결정화도를 가지고 있고, 또한 fluorite 구 조의 Cd0.2Ce0.8O1.9 결정구조라는 것을 재차 확인하였다.
그림 4(A)는 Al2O3/GDC20 및 Al2O3/Mn2O3/GDC20의 XRD 분석결과이다. 비교를 위해 GDC20의 분석결과를 포함하였다. 그림 4(b)는 2 vol%의 Al2O3가 단독으로 첨 가된 경우이고, 그림 4(c)는 2 vol%의 Al2O3와 1 vol%의 Mn2O3이 동시에 첨가된 분말의 회절 패턴을 보여준다. 하 지만 그림 4(a)의 순수한 GDC20의 회절패턴과 동일한 회 절 패턴을 나타내었으며 다른 회절 패턴을 관찰되지 않았 다. 이는 첨가된 Al2O3와 Mn2O3의 양이 XRD 분석으로 확인이 가능하지 않은 수준이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추 가적인 EDX 분석으로 Al과 Mn의 존재를 확인하였으며, 이는 소결 시편의 분석결과에서 추후 논의할 것이다. 또한 그림 4(B)(C)에서 보여주듯이, 순수한 GDC20과 분말의 형상이 유사하고, 평균 입자 크기도 약 1 μm로 차이가 없 으므로, 초음파 분무 열분해 시, Al 및 Mn의 전구체의 첨 가는 GDC20의 결정구조, 형상 및 입자 크기에 영향을 미 치지 않았다고 사료된다.
그림 5는 방전플라스마 소결 공정을 통해 1400°C에서 5 분간 소결하여 제조한 시편의 XRD 분석 결과이다. 그림 4의 XRD 분석 결과와 비교하여 회절피크의 강도가 매우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소결 과정에서 치밀 화 및 결정립 성장이 일어났음을 보여준다. 모든 소결체 시편은 fluorite 구조의 Cd0.2Ce0.8O1.9 결정구조로 확인되었 지만, 2 vol%의 Al2O3가 첨가된 Al2O3/GDC20와 추가적으 로 1 vol%의 Mn2O3를 첨가한 Al2O3/Mn2O3/GDC20 소결 시편에서는 제 2상인 GdAlO3가 관찰되었다. 분말 시료의 XRD 분석결과와 달리, 소결시편에서 적은 양의 Al2O3의 첨가에도 2차상의 관찰된 이유는 2차상이 입계에 집중되 어 석출되었고 고온의 소결 온도에 따른 결정성장이 일어 났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그림 6은 Al2O3/Mn2O3/GDC20 시편의 EDX mapping 결과를 보여주며, Al과 Mn이 존재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7은 소결 시편의 미세조직을 보여주는 FE-SEM 사 진이다. 순수한 GDC20의 경우, 전체적으로 소결이 잘 진 행되어 건전한 미세조직을 나타내었으며, 결정립 크기는 평균 10 μm로 확인되었다. Al2O3를 GDC20에 단독으로 첨가한 경우, 그림 6(B)에서 보여주듯이, 순수한 GDC20 과 비교하여 미세조직의 명확한 차이를 관찰할 수 있다. 평균 결정립 크기는 약 2 μm로 감소하였고, 이는 합성한 분말의 2차 입경보다 1 μm 증가한 크기이다. FE-SEM 사 진에서 계면에 존재하는 GdAlO3를 확인할 수 있으며, 소 결 과정에서 결정립 성장이 2차상인 GdAlO3에 의해 억제 되었다고 판단된다. 그림 6(C)는 Mn2O3의 첨가에 의한 미 세조직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GDC20에 1 vol%의 Mn2O3를 단독으로 첨가하여 분말을 합성하고 성형, 소결 하여 얻은 미세조직 분석 결과이다. 본 연구에서는 Mn2O3 를 전자를 구속하기 위한 목적으로 첨가하였지만, 본래 Mn2O3는 낮은 융점으로 인해 소결조제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림 6(C)에서 알 수 있듯이, 소결 시편은 Mn2O3의 첨가에 의해 결정립 성장이 크게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되 었으며, 매우 치밀하고 건전한 미세조직을 가지고 있었다. GDC20에 Al2O3와 Mn2O3를 동시에 첨가한 경우에는 치밀 한 미세조직과 결정립 내부 또는 결정립계에 생성된 GdAlO3상이 관찰되었다.
그림 8은 소결 시편의 상대밀도와 비커스 경도 시험 결 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GDC20, GDC20/Al2O3, GDC20/ Al2O3/Mn2O3의 소결체는 각각 96%, 95%, 97%의 우수한 평균 소결 상대밀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소결밀도의 차이 는 Al2O3에 의한 결정립 성장의 억제(GDC20/Al2O3)와 Mn2O3에 의한 소결성 향상(GDC20/Al2O3/Mn2O3)으로 발 생된 것으로 판단된다. GDC20 소결체의 경도는 약 1.8 GPa로 확인되었으며, GDC20에 Al2O3를 복합화 한 경우 는 미세한 결정립에 의한 다수의 결정입계와 입계에 석출 된 GdAlO3에 의한 입계 강화 효과로 crack의 진행이 억제 되어 보다 우수한 경도(8.3 GPa)을 나타냈다. Mn2O3가 Al2O3와 동시에 첨가된 경우에는 결정립은 크게 성장하였 으나, 2차상인 GdAlO3에 의한 입내, 입계 강화 효과로 순 수한 GDC20보다 높은 5.6 GPa의 경도값을 나타냈다.
연료전지의 구동 시, 전자전도의 발생은 연료전지 출력 파워 밀도를 감소시킨다. 아래는 출력밀도와 연관이 있는 평형 전위(equilibrium potential), 즉 개방 회로 전압(open circuit voltage, OCV, E)을 표현하는 식이다[10].
E=tikT4qlnP1P2,ti=σion/σion+σelectron
여기서 ti는 이온전이수(ionic transference number, 0≤ti≤1) 를 나타낸다. 전자전도도가 이온전도도 보다 현저히 작을 경우 이온전이수는 1이고 OCV는 전해질 양단의 산소분 압 (P1, P2)에 의해 결정된다. 하지만, 이온전이수가 1보다 작을 경우 OCV는 이론적인 값(양극과 연료극의 산소분압 P1과 P2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OCV)으로 나타낼 수 없다. GDC의 경우가 이 경우에 해당되며, 공기 중에서 높은 이 온전도도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산소분압이 낮아짐에 따라 전자전도도가 발생하여 이온전이수가 1 보다 작아짐으로 써 종국적으로 OCV 값이 이론값 보다 작아지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림 9는 시편의 임피던스 패턴으로부터 계 산한 GDC20과 GDC/Al2O3/Mn2O3의 공기와 환원성 분위 기에서 전체전도도(입내와 입계 전도도를 합산)를 보여주 는 그래프이다. 순수한 GDC의 경우, 환원 분위기에서 시 편의 전기전도도가 급격히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 한 현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환원성 분위기에서 Ce4+ 이 온이 Ce3+ 로 환원되면서 발생하는 전자에 의한 전자전도 의 증가 때문이다. 이와 같은 환원분위기 내에서 전자전도 의 급격한 증가는 연료전지의 성능을 감소시킨다. 반면에 동일한 조건에서 GDC/Al2O3/Mn2O3의 경우, 공기 중에서 의 전도도와 환원 분위기 하에서의 전도도가 비슷한 값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전자전도의 발생이 억제되어 환원분 위기에서도 여전히 이온 전도가 주요한 전도 매개체 (dominant charge carrier)임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상은 Mn2O3와 같은 전자트랩성 화합물(주로 6족 내지 11족의 전이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금속 이온)의 환원 전위에너지(reduction potential energy)가 세리아계 화합물 의 Ce4+ 이온이 Ce3+ 이온으로 전이되는 환원전위에너지 보다 작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전자트랩성 화합물이 환원 분위기에서 전자를 가두는 역할을 하게 되어, 세리아 계 고체산화물 전해질의 높은 전자전도성을 억제할 수 있 게 된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GDC20/Al2O3/Mn2O3 시편은 환원분위기에서도 이온전도가 주된 전도 매개체로 활동하 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환원분위기 에서도 이온전 이수가 1에 가까워 OCV가 이론적인 값을 가질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중·저온용 연료전지 전 해질로서 우수한 특성을 발현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 분무 열분해 공정을 이용하여 GDC20을 합성하였으며, 환원분위기 하에서 기계적, 전기 적 특성이 저하되는 GDC20의 단점을 Al2O3와 Mn2O3와 의 복합화를 통해 성공적으로 극복하였다. 합성된 GDC20 분말과 GDC/Al2O3/Mn2O3 복합 분말은 약 1 μm 크기였고, 결정성이 우수한 10 nm의 1차 입자로 이루어져 있었다. 복합 분말을 1400°C의 온도에서 열처리한 소결 시편에서 GdAlO3의 이차상이 관찰되었으며, Mn2O3에 의해 소결성 이 개선되어 순수한 GDC20보다 건전한 미세조직 및 높 은 상대밀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복합 소결체는 결정립 내 부와 결정립계에 위치한 GdAlO3의 영향으로 입내, 입계 강화를 통해 순수한 GDC20과 비교하여 개선된 기계적 특 성을 가지고 있었다. 더 나아가 Mn2O3에 첨가에 의해 환 원분위기에서 발생하는 GDC20의 전기 전도 증가를 억제 하였다. 따라서 Al2O3와 Mn2O3의 첨가를 통해 중·저온 용 연료전지의 유망한 전해질인 GDC20의 기계적, 전기적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Al2O3와 Mn2O3의 첨가량에 따른 전해질의 물성변화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최적 첨가량 및 Al2O3, Mn2O3와 GDC20의 반응 상 또는 Mn의 GDC 결정구조로의 도핑에 대한 연구를 진 행할 계획이다.
Acknowledgements
이 연구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연구비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Fig. 1.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DC20 powders synthesized by ultrasonic pyrolysis process at (A)600°C, (B) 700°C and (C) 800°C.
KPMI-21-222_F1.gif
Fig. 2.
(A, B) FE-SEM images and (C) EDX result of GDC20 powder synthesized by ultrasonic pyrolysis process at 700°C.
KPMI-21-222_F2.gif
Fig. 3.
(A, B) TEM images and (C, D) FFT images converted from the area 1 and 2 of TEM image (B).
KPMI-21-222_F3.gif
Fig. 4.
(A)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a) pure GDC20, (b) GDC20/Al2O3 and (c) GDC20/Al2O3/Mn2O3 powders synthesized by ultrasonic pyrolysis process at 700°C and FE-SEM images of (B) GDC20/Al2O3 and (C) GDC20/Al2O3/Mn2O3.
KPMI-21-222_F4.gif
Fig. 5.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A) pure GDC20, (B) GDC20/Al2O3, (C) GDC20/Al2O3/Mn2O3 after sintering at 1400°C for 5 min.
KPMI-21-222_F5.gif
Fig. 6.
EDX mapping result of GDC20/Al2O3/Mn2O3 after sintering at 1400°C for 5 min.
KPMI-21-222_F6.gif
Fig. 7.
FE-SEM images of (A) pure GDC20, (B) GDC20/Al2O3, (C) GDC20/Mn2O3 and (D) GDC20/Al2O3/Mn2O3 after sintering at 1400°C for 5 min.
KPMI-21-222_F7.gif
Fig. 8.
Relative density and Vickers hardness of GDC20, GDC20/Al2O3 and GDC20/Al2O3/Mn2O3.
KPMI-21-222_F8.gif
Fig. 9.
A graph of log electronic conductivity versus temperature and inverse temperature of GDC20 and GDC20/Al2O3/Mn2O3 in air and reducing environment.
KPMI-21-222_F9.gif
  • 1. R. M Ormerod, Chem. Soc. Rev. (2003) 32 17.Article
  • 2. Z Shao, S. M Haile, J Ahn, P. D Ronney, Z Zhan, and S. A Barnett, Nature. (2005) 435 795.
  • 3. V. V Khartona, F. M. B Marquesa, and A Atkinson, Solid State Ionics. (2004) 174 135.
  • 4. M Han, X Tang, H Yin, and S Peng, J. Power Sources. (2007) 165 757.
  • 5. E Courtina, P Boya, T Piquerob, J Vullietb, N Poirotc, and C. J Laberty-Robertd, Power Sources. (2012) 206 77.
  • 6. B. C. H Steele, Solid State Ionics. (2000) 129 95.
  • 7. R Chockalingam, S Chockalingam, and V. R. W Amarakoon, J. Power Sources. (2011) 196 1808.
  • 8. A. I. Y Tok, L. H Luo, and F. Y. C Boey, Mater. Sci. Eng. (2004) 383 229.
  • 9. D. H Prasad, J.-W Son, B.-K Kim, H.-W Lee, and J.-H Lee, J. Eur. Ceram. Soc. (2008) 28 3107.
  • 10. T Matsuia, T Kosakab, M Inabab, A Mineshigec, and Z Ogumi, Solid State Ionics. (2005) 176 663.
  • 11. T. S Zhang, J Ma, H Cheng, and S. H Chan, Mater. Res. Bull. (2006) 41 563.
  • 12. Tianshu Zhang, Hing Peter, Huang Haitao, and J Kilner, Solid State Ionics. (2002) 148 567.

Figure & Data

References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High growth-rate atomic layer deposition process of cerium oxide thin film for solid oxide fuel cell
      Jin-Geun Yu, Byung Chan Yang, Jeong Woo Shin, Sungje Lee, Seongkook Oh, Jae-Ho Choi, Jaehack Jeong, Wontae Noh, Jihwan An
      Ceramics International.2019; 45(3): 3811.     CrossRef
    • Atomic-layer-deposited ZrO2-doped CeO2 thin film for facilitating oxygen reduction reaction in solid oxide fuel cell
      Byung Chan Yang, Dohyun Go, Seongkook Oh, Jeong Woo Shin, Hyong June Kim, Jihwan An
      Applied Surface Science.2019; 473: 102.     CrossRef

    • PubReader PubReader
    • Cite this Article
      Cite this Article
      export Copy Download
      Close
      Download Citation
      Download a citation file in RIS format that can be imported by all major citation management software, including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Reference Manager.

      Format:
      • RIS — For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most other reference management software
      • BibTeX — For JabRef, BibDesk, and other BibTeX-specific software
      Include:
      • Citation for the content below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a Ceria Based Composite Electrolyte for Solid Oxide Fuel Cells by an Ultrasonic Spray Pyrolysis Process
      J Powder Mater. 2014;21(3):222-228.   Published online June 1, 2014
      Close
    • XML DownloadXML Download
    Figure

    Journal of Powder Materials : Journal of Powder Materials